차 례
수필 편
1. 암까마귀 수까마귀의 논쟁.
2. 어중이떠중이가 신변잡기를 쓰다.
3. 성형 시대의 수필.
4. 수필에서의 변화를 말하다.
5. 마당수필에 관한 小考.
6. 수필의 틈새 대중성
7. 붓 가는 대로의 향수
8. 수필에서 단락이 가지는 의미
9. 수필은 주관적 산문형식이다.
10. 삼인칭 수필or에세이 가능할 것인가.
11. 수필의 의미를 어원에서 찾다.
12. 흥미로운 수필이론들
12-1 양잠론 곶감론
12-2 수필로 쓴 수필이론
12-3 아포리즘 형식의 수필이론
12-4 운정의 수필이론 배경
에세이 편
13. Essay의 기원
13-1 『LES ESSAIS (1580)』 Michel de Montaigne 의 서문
13-2 『Essays of Francis Bacon (1597)』Bacon 의 헌사(獻辭)
14. Montaigne의 Essay 소개
15. Bacon Essay 소개
16 몽테뉴Montaigne와 베이컨Bacon의 작품 비교
17. Essay 선구자들 (Forerunner Essayist)
17-1 플라톤 Platon
17-2 키케로 Cicero
17-3 세네카 Seneca
17-4 플루타르코스Plutarchos
18. 몽테뉴 이후
18-1 Charles Lamb Essay 소개
18-2 찰스 램Charles Lamb의 에세이를 말하다
18-3 『인기 없는 에세이』
19. Formal Essay 한국 작가와 작품들
19-1 김진섭
19-2 이양하
19-3 안병욱
에세이와 수필사이
21. 고품격 에세이를 위하여
22. 에세이와 수필 사이에서
23. 수필가를 Supilist로 부르자
24. 『LES ESSAIS』서문에서 멀어지는 한국 에세이
25. 아포리즘aphorism 수필'의 가능성에 대하여
26. 젊은 문인이 아쉽다
'著書 > 주관산문(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관적 산문쓰기(동영상) (0) | 2022.05.03 |
---|---|
서문 (0) | 2022.05.03 |
암까마귀 수까마귀의 논쟁 (0) | 2022.05.03 |
‘어중이떠중이’가 ‘신변잡기’를 쓰다 (0) | 2022.05.03 |
성형시대의 수필 (0) | 2022.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