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 가는 대로’의 향수
석현수
수필은 붓 가는 대로 쓰는 글이 아니다. 그동안 글을 쓰면서 이 말만큼 많이 들어 본 것이 없다. 좋은 뜻에서가 아니라 이것이 틀렸다는 전제하에 글 쓰는 이들을 계몽하기 위한 목적이어서 목소리도 높았고 표현도 거칠어 귀에 못이 박여있다. 이젠 안심하여도 좋다. 사람도 가고, 세월도 갔기에 지금은 아무도 ‘수필을 붓 가는 대로 쓰는 글’이라 하지 않을 것이다. 붓 가는 대로 쓰는 글이란 말은 이미 죽은 말〔言〕이다. 죽은 말〔馬〕을 두들겨 패기란 부질없는 일이다. 그러나 붓 가는 대로의 참뜻이 ‘아무렇게’가 아니라 ‘자연스럽게’라는 주장이었다니 이미 죽인 말〔言〕을 어떻게 살려내야 하나.
수필을 붓 가는 대로 쓰는 글이라 했던 사람은 과연 누구였을까? 모두 우리가 배웠던 국정교과서의 금아 피천득 선생의 ‘수필’이란 글제를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글 속에는 수필을 그렇게 정의를 내리고 있지 않았다. 가장 가까운 의미의 문장이라면 ‘수필은 플롯이나 클라이맥스를 필요 하지 않는다. 가고 싶은 데로 가는 것이 수필의 행로이다.’라는 말이 있을 뿐 ‘붓 가는 대로’는 금아의 ‘수필’에서 인용된 말이 아니다.
이 말은 1934년 김광섭의 <수필 문학 소고>에서 나온 말이다. ‘붓 가는 대로’의 정의는 금아의 동시대 사람들의 보편화한 주장이었지만 놀랍게도 금아 자신조차도 이를 ‘붓 가는 대로 쓴 것처럼 자연스럽게 쓰라’는 말로 부언(附言)해 놓았다, 수필隨筆의 한자를 따를 수隨, 붓 필筆로 본다면야 이것도 무리가 있었던 말은 아닐 성싶다. 수필에 대한 일반적인 한자 풀이였을 것이다.
오늘날 수필은 붓 가는 대로 쓰는 글이 아니라는 것이 보편화하였지만, 당시는 유행처럼 그렇게 말했고 믿었다. 한동안 ‘된다.’라는 말도 ‘안 된다’라는 논란이 이어졌다. 그러나 지금은 ‘된다’ ‘안된가’가 아니라 그렇게 ‘자연스럽게’ 쓰라는 금아의 부언에 의견이 모인 것 같다. ‘아무렇게나’ ‘마구 쓴’이란 악의적인 수식어를 ‘붓 가는 대로’ 앞에다 덧대기를 하는 모함도 사라졌다. 지금에는 ‘붓 가는 대로’를 기억하고 있는 사람도 드물 것이니 수필 계를 위해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수필이 주변 문학에 머물러야 했던 가장 큰 이유가 ‘붓 가는 대로 쓰는 글’ 이란 주장 때문이라고 격정적으로 토로하던 이론가도 많았다. 이런 주장이 모두 사라진 지금은 수필이 문학의 중심으로 이동하였는가? 아니면 이동하고 있는가? 지금쯤은 우수한 명수필들이 넘쳐나야 할 때도 되지 않나 싶은데 그런 기미는 보이기나 한가? 혹시 우리가 사형선고를 내렸던 ‘붓 가는 대로'가 원인이 아니었을 것이라는 생각에 이르면 수필에게 애먼 짓이나 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수필도 하나의 문학작품일진대 이렇게 매도당할 장르가 아니다. 마치도 ‘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 하라는 코치의 말을, 시합을 연습처럼 ‘성의 없이’ 하라는 말로 와전 시켜 코치를 매도하려 드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수필에서의 ‘붓 가는 대로’란 붓 가듯이 흘러 자연스럽게 표현해 보라는 당부 말이었을 것이리라. ‘힘들게 써서 쉽게 읽혀야 한다.’라고 하는 다른 말일 수도 있을 것이다.
잘 쓴 글씨를 평사낙안平沙落雁이라고 한다. 모래 위에 사뿐히 앉는 기러기의 모습을 이르는 말이다. 새가 가장 위험한 순간은 솟구쳐 날아오르는 순간이 아니라 땅으로 내려앉는 순간이다. 날개에다 바람의 항력을 잔뜩 받아내려고 다리와 고개를 한껏 앞으로 내밀고 있다. 무게 중심을 잡는 무척 긴장된 순간이다. 물론 눈도 깜빡거릴 여유도 갖지 못하는 긴장감으로 새는 모래사장에 내려앉는다. 새들은 얼마나 착륙하는 연습을 많이 했으면 이 위험천만의 순간을 사람들의 눈에 사뿐히 모래사장에 앉듯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었을까?
명수필들이 그러할 것이다. 지금까지 주옥같은 작품들을 남겨 주었던 수필 계 원로들의 글들은 얼마나 부드럽고 자연스럽고 깊이 있는 글들이었던가. 이들 수필의 공통점이란 ‘자연스러움’이다. 이들이 지향하고자 했던 것이 ‘붓 가는 대로’였다면 지금 우리는 왜 ‘붓 가는 대로’가 아니어야 하는가? 이런 글 뒤에 숨어 있을 글쓰기의 깊은 고행의 길을 이해하지 못해서일까? 붓 가는 대로의 참뜻을 다시 한번 떠 올린다.
(2013)
'著書 > 주관산문(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당수필에 관한 小考 (0) | 2022.05.03 |
---|---|
수필의 틈새, 대중성에 대하여 (0) | 2022.05.03 |
수필에서 단락이 가지는 의미 (0) | 2022.05.03 |
수필은 주관적 산문 형식이다. (0) | 2022.05.03 |
‘3인칭 에세이’ 가능할 것일까? (0) | 2022.05.03 |